분류 전체보기 21

[참고문헌] N-terminal modifications of cellular proteins: The enzymes involved, their substrate specificities and biological effects

본 문헌은 native 한 진핵 cellular protein 들의 N말단이 특정 내인성 효소에 따른 N말단 modification 이 유발될수 있음을 소개하는 리뷰 문헌입니다. 본인들이 연구하는 단백질의 특성과 재조합단백질로의 발현시 특성 분석 항목에 있어 N말단 서열분석을 진행 전 참조하시면 분석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보다 효율적인 실험 계획을 세울수 있는 관점에서 유용한 자료라 생각되어 소개시켜드립니다. ​ 1st residue 에 해당하는 아미노산이 chemical modification 이 되지 않는다면 N말단 서열분석은 Edman degradation 분석법이나 peptide mapping 분석을 통한 N말단 서열 분석 두 가지 방법 모두 유용하며 chemical modification 이 된..

Protein 학술 2022.03.24

[참고문헌] Removal of N-terminal methionine from recombinant proteins by engineered E. coli methionine

본 문헌은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있어 engineering 적으로 Met 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methionine aminopeptidase 에 대한 기능성 특성을 소개하는 문헌으로 native 한 조건에서도 Met-Xaa 에서 특성 아미노산이 위치하는 경우 이런 Met 이 deletion 이 일어날수 있음을 소개하는 자료도 함께 링크자료로 제공합니다. 재조합 단백질을 E.coli 와 같은 원핵 세포주에서 발현하시는 분들에게나 N-terminal sequencing 분석 전에 참고할만한 자료입니다. * 참고문헌 링크 : Removal of N-terminal methionine from recombinant proteins by engineered E. coli methionine aminopept..

Protein 학술 2022.03.24

[분석기술] 창상피복재 성능평가 시험방법 가이드라인 (콜라겐 함량 시험)

창상피복제 내 콜라겐 확인/함량 시험에 대한 시험법 가이드라인 정보를 공유해드립니다. 기본 원리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분석과 유사 원리를 응용한 시험법으로 ASTM F2212-09 시험법을 채택하여 적용된 방법입니다. * 식약처 관련 가이드집 링크 : 창상피복재 성능 평가 시험방법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상세보기|민원인안내서 | 식품의약품안전처 (mfds.go.kr) * ASTM F2212-09 원문자료 : ASTM F2212-09 - Standard Guide for Characterization of Type I Collagen as Starting Material for Surgical Implants and Substrates for Tissue Engineered Medical Produ..

Protein 학술 2022.03.11

[참고문헌] Glycan labeling strategies and their use i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본 문헌은 Glycoprotein 에서 glycan 분석을 위한 전체적인 scheme 에 대한 소개를 하는 review 논문에 해당합니다. 특히, glycoprotein 으로부터 glycan (N-/O-)분리 방법, labeling 방법과 필요성 그리고 (per)methylation의 방법과 필요성 등에 대하여 알기 쉽게 기술한 논문으로 초기 당분석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헌이라 소개합니다. 참고문헌 링크 : Glycan labeling strategies and their use i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 SpringerLink 추가문헌 링크 : Frontiers | Comparison of 2-Aminobenzamide, Procai..

Glycan 학술 2022.03.07

[학술자료] Effect of ‘pH’ on the Rate of Pyroglutamate Formation in Solution and Lyophilized Solids

본 논문은 mAb 의 생산에 있어 발현 공정 시 환경적인 pH 에 따라 Glutamate(E) 가 pyroglutamate(pE)로 bioconversion 이 될 수 있음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약산의 pH 범위인 pH’ 5.5–6 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입증한 논문입니다. 본 문헌 내용의 중요성은 pyroglutmate 의 형성 여부에 따라 항체 단백질의 heavy chain 의 variable region 의 1차 구조적 변화에 따른 biological activity 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과 단백질의 1차 구조 분석 항목에 해당하는 N-term sequencing 분석법에는 Edman degradation method 와 LC-MS 를 이용하여 peptide mapping ..

Protein 학술 2022.03.07

[학술자료] LC-MS를 이용한 재조합 항체 단백질에서 Asp Isomerization and Asn Deamidation 의 동시발생 평가 분석기술

[ 분석 상담 ] 전화 : (02)866 2980 (직통) 070 8015 4093 이메일 : parkjw@emass.co.kr 홈페이지 : www.emass.co.kr (bioanalysis) ​ 본 논문자료는 재조합 단백질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아미노산 잔기의 stress 에 따른 변형 중 한가지로 알려져 있는 Asp(D) 의 isomerization 과 Asn(N) 의 deamidation 에 대한 동시 발생에 대한 평가를 LC-MS (액체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peptide mapping 분석을 통해 site ID 와 site 정량 분석에 대한 기술을 소개한 학술적 자료 입니다. ​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관련 문헌 링크

Protein 학술 2022.02.22

[분석가이드라인] 동등생물의약품 평가 가이드라인 (민원인안내서) 2021. 12. 23. 바이오생약심사부

본 자료는 동등생물의약품 평가 가이드라인 개정서로서 단백질의 구조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유효적절한 항목을 언급한 자료입니다. ​ 여기에는 단백질의 서열분석 기반이 주요 분석항목으로 언급되어 있는바 초기 허가관련 연구개발 단계에 참고를 드리고자 공유해드립니다. ​ 출처 : 식약처 ​ [ 관련 분석 상담 ] 전화 : (02)866 2980 (직통) 070 8015 4093 이메일 : parkjw@emass.co.kr 홈페이지 : www.emass.co.kr (bioanalysis)

Protein 학술 2022.02.22

Peptide mapping 서열 분석 및 응용

1. 개요 단백질과 같은 생체 고분자의 특징을 가진 분자적 특징은 현재까지 intact form 을 유지한 조건에서 단백질에 대한 서열을 확인하는 방법은 부분 N말단 서열을 확인하는 edman degradation method 이외에는 대체 분석법이 없는게 현재 추세이며 따라서 단백질의 서열을 효과적으로 분석해낼 수 있는 방법은 그 단백질의 peptide 로 저분자화 시키는 전처리과정을 통해 얻어진 total peptide 시료를 질량 분석 장비나 LC(HPLC, UHPLC,nano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분리가 되는 조건하에서 각 분석장비의 검출기(detector)로 부터 검출된 peptide 마다 fingerprinting 특이값의 해석을 통해 유전자가 암호화한 서열과의 동..

Protein 학술 2022.02.21

Edman degradation method (에드만 분해법)

1. 개요 에드만 분해법(Edman degradation)은 펩타이드/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N말단 첫 번째 아미노산 부터 C말단 방향으로 순차적인 아미노산 유도체와 유리를 통해 얻어진 유리 아미노산을 확인하고 일련의 반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진 아미노산 식별 데이터를 조합하여 확인하는 N말단 서열 분석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현재는 자동화된 에드만 분해법 protein sequencer 장비로 구현되어 다양한 단백질의 N말단 부분서열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 2. 반응 1) PITC coupling 반응 첫 번째 과정인 연결에서는 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phenylisothiocyanate, PITC)가 단백질의 N말단 첫 번째 위치한 아미노산의 fr..

Protein 학술 2022.02.18

Edman sequencing 분석 소개

단백질의 N말단 위치한 첫번째 아미노산부터 순차적인 edman degradation에 의한 일련의 아미노산 화학 유도체 반응(coupling > cleavage > conversion)의 cycling 반응에 의해 순차적으로 유리되어 나온 PTH-amino acid를 표준 PTH-amino acid와 검출 특이성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고 순차적인 서열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N말단 서열 분석의 대상은 주로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 protein)에서의 N말단 서열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추세이나 일부 단백질(native protein)을 연구하는 곳에서도 Unknown N-terminal sequencing 정보를 얻기 위하여 분석을 진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자료는 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