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ss analysis 2

[분석 서비스] protein identification and profile 분석

Native protein 발현조건에서 초기 연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단백질의 신호/면역 관련 반응에 따라 반응하는 단백질을 연구하는 학문분야를 proteomics 분석이라고 한다. 또한 재조합 단백질의 경우 단백질 순도를 검증하기 위한 단백질 전기영동을 수행했을 때 의도하지 않게 불순물 단백질(impurity protein)으로 분류되는 unknown protein 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러한 unknown 단백질을 지정된 단일 또는 소수의 reference sequence 정보에만 국한되지 않고 그 단백질이 유래(origin)를 밝히기 위해 다양한 생물종의 sequence library 검색을 신속하게 peptide fingerprinting / partial MS/MS sequencing 분석 통해..

[분석 서비스] Disulfide-bond determination

단백질의 특성 분석 내 구조 분석 항목 중 3차 구조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하는 cysteine 간의 disulfide-bond 결합 위치가 재조합 단백질에서는 특히 중요하다. 그 요인은 원래의 단백질이 native protein 으로 발현되는 세포 및 조직의 조건과 인위적인 조건의 세포주 조건과는 발현 시스템상의 차이에 따른 재현성에 문제가 발생할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진핵 유전자를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경우 원핵의 세포주를 활용할때 보다 빈번히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그렇다고 진핵 세포주 또한 안정적으로 정상의 단백질 발현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 분석을 위해서는 peptide mapping 의 bottom-up 접근을 통해 단백질의 native 조건과 ..